📟java/JSP, Servlet 11

Servlet 이해하기(3)[자동, 수동 dir생성 비교]

우리가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톰캣에 등록해줘야한다. 그 방법은 server.xml에 context로 파일을 등록하는게 수동 방법이었다. 자동으로 할 경우는 어떻게 등록하게 될까? 톰캣에서 Add and Remove 클릭 (아.. 이게 그 작년에 헤맸던 그 부분이구나.) 이 과정이 톰켓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과정이었던 것이다. add ㅡ> finish 누르면 맨아래처럼 자동등록 완료. 파일명 그대로 Context로 자동 등록이 된다. 아까 폴더 자동 생성시, MVC01과 WebContent(여기에 web관련 내용 다 담음 헷갈리면 디렉터리 비교 보고오기)를 연결해주는게 바로 아래의 이미지 모습이다. 이렇게 연결해주면 MVC01을 Context로 톰캣에 등록하면 webcontent..

Servlet 이해하기(2)[Mysql table 만들고 조작하기 ]

이제는 수동으로 생성하는 것이 아닌, Dynamic web project를 통해 자동으로 생성하게 될것. 번외: SQL 연동하기 SQL 구동은아래의 New MySQL 눌러서 test 클릭해준 뒤, (물론 sql 구동은 cmd 들어가서 해놔야됨) 윗창에서 내 파일을 지정하면 Connected라고 뜨는데 그러면 준비가 된 것이다. 그리고 sql구문 실행은 드래그 + 오른쪽 마우스 후에 아래 버튼을 눌러준다. 결과는 SQL Results 항목에서 확인가능하다. 가끔 Execute가 안되면 test등록을 다시 해서 Connected로 다시 만들어 주면 된다.

Servlet 이해하기

Servlet은 Server + let의 약자로 거의 java를 이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MVC 중 C . C로서 Servlet의 의미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제일 먼저 받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객체 MyUtil이란 M(모델)을 통해, 그 객체 안에 미리 정의해 두었던 hap이란 메서드를 sum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현재 WEB-INF 아래의 보이지 않는 dir인 classes에 kr.web.controller 아래에 HelloServlet이 저장되있음 하지만 WEB-INF는 관리실이라 칭했음. 말그대로 관리하는 폴더라 보안 상 브라우저에 나타나면 안됨 , 코드도 긺. 그래서 아래처럼 톰캣으로 정상작동되어도 보안상 아래처럼 404가 뜨게된다. 서블릿 Mapping 말그대로 관리하는 폴더라 보안 ..

Model1 이해 (jsp + Model)[구조 이해, 공부방향 설정]

서블릿 : 자바로만 이루어진 서버 웹 프로그램 jsp는 화면(html)형태들로, servlet은 자바의 클래스 형태들로 만들어진다. (src ㅡ> new ㅡ> package) (잠시 서블릿 전에 jsp파일 생성 및 편집 중이다.) class가 만들어지면 bin에 저장되게 되는데 그 클래스가 실행되어 실행파일이 만들어지면 그 bin에서는 쓰이지 않고, classes 폴더에 저장되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니 src의 bin과 classes의 경로설정이 필요하다. (자동생성하지 않으면 이것 또한 직접해주게 되는 것이다.) src하위의 bin 폴더가 원래 안보이듯이, classes 또한 bin처럼 안보이게 되었다. Model은 저 비지니스 로직을 밖의 클래스로 빼서 저장해둔 것을 말한다. 아래의 html 영역(프..

jsp 이해 [jsq파일 생성, 톰캣실행, WAS 구조의 이해]

전반적 구조. jsp는 MVC에서 V요소 즉, view의 요소를 담당한다. 이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폴더 생성 및, 파일 경로등을 해주는 것을 일일히 직접해보는 과정을 가졌다. 프로젝트 안에 src를 생성. 그 bin dir안에 자바 클래스들이 들어가게 된다. 우리는 javaEE를 쓰고 있기에, 자바 프로젝트 보단, 자바 웹 프로젝트 생성이 일반적인데 설정을 바꿀 것인가?라 물어보는 창이다. 여기서 설정이란 밑 이미지의 오른쪽 상단에 빨간색으로 표시되있는, 보기메뉴 버튼설정을 의미한다. 톰캣에 맞는 dir 구조를 가져야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잘 구동이된다. 그렇다면 그 dir 구조는 어떻게 되는가? 아래가 그 구조의 전반적 모습이다. 생성된 모습. 보통 자동생성된다. webapp은 이 ..

Mysql cmd에서 실행 후 연동, 비밀번호 변경

mysql을 cmd로 구동시키던 중 에러가 발생했다.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드뎌 해결했다. 영상내용 처럼 1개의 cmd 창으로, mysql폴더에서 startup.bat을 실행한 뒤 냅두고, 다른 1개의 cmd창으로, mysql의 하위 폴더 bin에 들어가서 mysql -u root -p를 실행해줘서 되었다. 이렇게 상위폴더에서 실행된 상태로, 바로 그 창으로 하위폴더에 가서 바로 다른 코드 실행하면 에러가 날 수도 있는 거구나...... 알았으니 됬다. mysql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아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날, 또 다른 오류가 떴다. 레지스트리 동작 설정을 담당하는 서비스에 들어가보니 sql80버전이 자동실행중이었다. 그래서 다시 중지하고 위의 과정을 반복했더니 잘 실행되었다. 다..

jsp 설치 및 환경세팅(톰캣)

전자정부프레임워크의 3.10버전묶음세트 (톰캣8.5 자바8, Mysql5) 낮은 버전을 보니 가슴이 웅장해진다. 우선 다운완료. 이후에 톰캣 이전것들 다 지우고(레지스트리, 검색후 파일제거) 누가 질문했던 것을 뒤져보니 아래처럼 나와있다. 네 기존에 사용하신 프로그램과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단, 기존에 톰켓서버는 구동을 중지시키시고, mysql서버도 중지시켜놓으시고 사용하시면됩니다. 당연히 기존의 톰켓이 구동된 상태에서 강의에 사용되는 톰켓을 구동하면 충돌이 나겠지요? 또 기존의 mysql서버를 구동시켜둔 상태에서 강의에서 진행하는 mysql을 구동하면 이것도 충돌이 나겠지요? 동시에만 사용하지 않으시면 크게 문제없이 강의를 들으실수가 있습니다.^^ 환경세팅은 mysql 서버 정지만 하면될듯하다. C..

JSP기본예제 / JSP 개인적 기록

jsp파일을 통해서 만들어진 java코드를 통해서 컴파일된 녀석이 객체로 생성됨 그 생성된 객체는 메모리상에 계속 유지된다. 그래서 창을 새로고침해도 새로고침 전의 창의 값을 유지함. -> 톰캣이 동작중인 메모리, 즉 메모리에 저장된 객체의 멤버변수.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반면, 은 단순히 스크립틀릿 안에 표현됨 그 안의 변수는 서비스함수 안에 있는 변수임. 즉, 지역변수. 호출할 때마다 값이 유지가 안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스프링에서 못했던 것을 해결했더니.. 또 가장 기초적인 가 되질 않는다. 분명, 내가 문제이겠는데.. 이유를 모르겠다. 10.31 어제는 계속 이것과 하루종일 씨름했다. 이 기본적인게 안되면... 예제를 따라할 수가 없다생각했기 때문이다. 유튜버님 귀찮..

[기초]계속 port를 변경해도 port 오류가 뜬다면?

초기 프로그램 설치 후 서버연동시에..... 아래의 포스팅처럼 포트 변경, 포트 제거 등 다해줘도 안되는 경우가 있다. 본인처럼. https://elecch.tistory.com/26 Tomcat 서버 연결 Tomcat설치 후, cmd로 들어간다. bin 폴더의 startup.bat을 실행하면 실행이 안될경우. 환경변수 검색으로 환경변수 변경 환경변수에 위든 아래든 JAVA_HOME 변수 만들고(변수란 '공간'이다. 이 변수를 통 elecch.tistory.com JSP와 Spring 등과 연결시 계속 오류가 뜬다면... 어떻게 해야될까?(jsp나 sts3나 프로그램은 다르지만 환경설정 방식은 똑같더라..) 사진A를 보면 연결에 성공한 모습이다. 실패한 때 모습을 살펴보면 저 사진A의 파란부분의 to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