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메모리가 꽉차게 되면 버려야할 것들이 존재한다. 버리는 것들은 디스크 스왑 공간으로 이동한다. 하드디스크에는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남지만, cpu, 메모리 등은 정보가 휘발된다. 그래서 디스크 스왑 공간은 데이터는 남지만, 이 데이터는 메모리와 상호관계가 크기 때문에 무쓸모한 정보가 된다. 어떤 기준으로 무엇을 버려야할까? 그 기준이 아래의 LRU와 LFU이다. LRU와 LFU 43분까지 📋CS/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2023.12.26
운영체제 이해해보기[운영체제의 기본동작과정] cpu는 놀고 있음 안되니까 input/output 관련한 인터럽션을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디스크, 키보드의 경우는 큐방식으로 프로세스를 순서대로 받다가 몇 만배나 빠른 cpu가 계속 디스크, 키보드의 수행을 계속 기다릴 수 없으니까 cpu 컨트롤러를 통해 한 작업이 끝나면 인터럽션을 통해서 그때마다 cpu를 바로 부르고 cpu는 그때마다 하던일을 멈추도록 운영체제에게 명령받아서 cpu controler에게 감. 그리고 읽어들인 데이터를 받음. 그 인터럽션을 받을 때 운영체제는 그 cpu의 작업을 다른 일하고 있던 cpu를 불러들이는 역할을 하는것이고 이 인터럽션들은 순서대로 cpu의 메모리인 레지스터에 쌓여서 큐방식대로 먼저온 순서대로 또 일이 수행되는 과정이 cpu 실행과정 1. 인터럽트(Interru.. 📋CS/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2023.11.27
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맛보기 1.메모리(ex) RAM) - 동작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함. - 메모리 주소를 통해 각 명령어, 데이터의 저장 위치확인 가능 2.CPU => 저장값을 읽어들이고, 해석, 실행하는 장치. - ALU : 계산기 - 레지스터 : CPU의 작은 저장장치(계산 결과 임시저장) - 제어장치 : 제어신호( 컴퓨터 부품을 관리하고 작동시킴 ex)메모리 읽기 신호, 메모리 쓰기 신호)를 내보내고 명령어를 해석 3. 보조기억장치(ex) ssd) - 전원꺼져도 보관대상을 저장하는 장치(메모리는 전원꺼지면 데이터가 날라감) 4. 입출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메모리 안에서 특별히 커널안에 저장되어, 컴퓨터의 자원을 관리(특히 메모리 관.. 📋CS/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2023.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