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JSP, Servlet

JSP기본예제 / JSP 개인적 기록

하얀성 2022. 11. 1. 20:57

jsp파일을 통해서 만들어진 java코드를 통해서 컴파일된 녀석이 객체로 생성됨

그 생성된 객체는 메모리상에 계속 유지된다. 그래서 창을 새로고침해도 새로고침 전의 창의 값을 유지함.

-> 톰캣이 동작중인 메모리, 즉 메모리에 저장된 객체의 멤버변수.

<% private int num1 = 0: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반면,  
<% int num2 = 0; %>
은 단순히 스크립틀릿 안에 표현됨

그 안의 변수는 서비스함수 안에 있는 변수임. 즉, 지역변수.
호출할 때마다 값이 유지가 안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스프링에서 못했던 것을 해결했더니..  또 가장 기초적인 <% System.out.println(); %>가 되질 않는다. 

분명, 내가 문제이겠는데.. 이유를 모르겠다.

 

10.31 어제는 계속 이것과 하루종일 씨름했다. 이 기본적인게 안되면... 예제를 따라할 수가 없다생각했기 때문이다.

초보에게 빠른 피드백 주신 IT핥기님 감사드립니다

 

유튜버님 귀찮게 해가면서까지 했는데.. 결국 내가 해결을 못했다. (솔직히 많이 비참하다.ㅋㅋㅋ)

 

넘어가서는 jsp파일이 서버를 통해  java파일로 되어가는 것을 직접보며 저 윗예제를 공부했다

 

오늘은 JSP 및 http프로토콜 기본방향에 대해 배웠다.

 

저 기초 문장이 안되니 코드 예제를 직접 타이핑쳐서 확인할 의지가 생기지 않는다. 영상대로 구현해내야 할맛이 날것인데ㅠ

 

그래도 희망적인 부분은 요즘 배우는 네트워크 기초내용이 재밋다는 것이다. 정리내용은 다음 글에 올리겠다.

 

그리고 교육체계가 잡혀있는 남궁성 선생님의 Spring 수업에 다시 가야겠다. 

자꾸 느는건 sts3 설치와, jsp 설치 그리고 환경설정하는 것뿐인것 같다ㅋㅋㅋㅋ 

 

하나하나 천천히 다시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