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톰캣에 등록해줘야한다.
그 방법은 server.xml에 context로 파일을 등록하는게 수동 방법이었다.
자동으로 할 경우는 어떻게 등록하게 될까?
톰캣에서 Add and Remove 클릭
(아.. 이게 그 작년에 헤맸던 그 부분이구나.)
이 과정이 톰켓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과정이었던 것이다.
add ㅡ> finish 누르면 맨아래처럼 자동등록 완료. 파일명 그대로 Context로 자동 등록이 된다.
아까 폴더 자동 생성시, MVC01과 WebContent(여기에 web관련 내용 다 담음 헷갈리면 디렉터리 비교 보고오기)를 연결해주는게 바로 아래의 이미지 모습이다. 이렇게 연결해주면 MVC01을 Context로 톰캣에 등록하면 webcontent가 등록되는것.
Context는 일종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톰켓에서 지칭하는 말로써도 많이 쓰인다.
<느낀점>
작년에 스프링 톰켓 연결할 때 나만 계속 안되서
나 왜 이런것도 못하지? 했었는데... 그냥 안 가르쳐준 그 사람이 이상한 강사였다.ㄷㄷ
자그마치 30만원에 근접하는 강의인데 아오 돈 아까워
'📟java > JSP,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let 이해하기(2)[Mysql table 만들고 조작하기 ] (0) | 2023.02.27 |
---|---|
Servlet 이해하기 (0) | 2023.02.27 |
Model1 이해 (jsp + Model)[구조 이해, 공부방향 설정] (0) | 2023.02.27 |
jsp 이해 [jsq파일 생성, 톰캣실행, WAS 구조의 이해] (0) | 2023.02.27 |
eclipse에서 mysql 연동해보기 (0)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