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리스트, y리스트가 있고. 둘의 관계를 f(x)로 정의하고 있을 때 x와 y의 요소들을 통해 f(x)를 찾아낸는 것이 선형회귀이다. 찾아내는 법은 f(x)=wx+b를 우리의 목표라고 한다면 아직 알지못하는 f(x)를 찾기위해 값을 마구잡이로 집어넣을 실험체인 H(w, b) 함수가 있다고 하고. 실제 f(x)를 찾기 위해서 리스트의 값으로 이루어진 좌표들과, 실험체 H(w,b)에 리스트들의 값을 넣은 값들의 차이가 가장 작게나오도록 하는 함수H(w,b)를 끊임없이 계산해서 찾게 만든다. 위의 요소들마다의 차이들을 제곱해서 모두 더한후, 그 요소의 갯수만큼 나눠주게 된다는... 그런 구체적인 계산방식으로 가장 f(x)에 가까운 H(w,b)를 찾게 되는데 이 구체적 계산방식을 cost(w,b). 즉 최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