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네트워크 이론

HTTP(2)[http의 리소스 다루기]

하얀성 2023. 9. 20. 09:58

url는 리소스를 조회하라는 의미가 아니라, 리소스 그 자체임. 
링크라 해서 주소가 나와있다해서 다른 동사적 의미가 있느게 아님. 명사일 뿐임.
동사적 기능은 get, post 등이 하는 것.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인터넷에서 특정 리소스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으로, 그 자체로는 어떠한 "행동"도 나타내지 않습니다. 그것은 단순히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즉, 리소스의 "주소"나 "명칭"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HTTP 메서드(동사)인 GET, POST, PUT, DELETE 등은 URL을 사용하여 특정 리소스에 대해 수행할 작업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면:

GET: 주어진 URL의 리소스를 검색합니다.
POST: 주어진 URL에 새 리소스를 생성합니다.
PUT: 주어진 URL의 리소스를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합니다.
DELETE: 주어진 URL의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따라서 URL은 명사로, 그 위에서 수행되는 HTTP 메서드가 동사적 작업을 수행합니다.

 

'📋CS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PUT,PATCH][HTTP 메서드의 속성]  (0) 2023.09.26
HTTP(3)[http 메서드 get, post]  (0) 2023.09.21
HTTP(1)[비연결성, 메시지]  (0) 2023.09.19
HTTP  (0) 2023.09.18
url ,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0) 2023.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