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된 방법(축약 번역) : 리소스의 위치
-> 변함
urn : 리소스 이름 그 자체
-> 불변
http 80포트 사용
https 443포트 사용
url의 scheme :
[userinfo@]host[:port][/path][?query][#fragment]
https://www.google.com:443/search?q=hello&hi=ko
리소스 : 구분 가능한 모든 것, 자원
path : 리소스 경로 ,계층적구조 ('/'으로 구분해놓음)
query : ?로 시작 &추가 가능. key=value 형태. 웹서버에 제공하는 파라미터. 문자형태
fragment : 잘 사용하진 않음. 서버에 전송하는 정보 아님. 북마크 등에 사용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쇼핑몰에서 택배회사에 부탁해서 지방 어딘가에 잠들어 있는 자기 재고를 달라고 그 재고가 있는 곳에 편지해서 그 재고를 받아오는 과정.
웹 브라우저 (쇼핑몰 또는 도서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쇼핑몰 또는 도서관)를 통해 원하는 정보 또는 제품을 찾기 시작합니다. 원하는 웹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거나 검색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찾습니다.
소켓 (택배회사):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정보 요청을 하기 위해, 소켓(택배회사)을 생성합니다. 소켓은 이 정보 요청을 안전하게 전송하는 도구 또는 서비스의 역할을 합니다. [편지를 창고업자에게 주고, 물품을 받아서 쇼핑몰에 다시 건네주는 역할. ]
HTTP 메시지 (물건요청 편지):
웹 브라우저는 HTTP 메시지(물건요청 편지)를 생성합니다. 이 메시지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 또는 제품의 요청 사항을 담고 있습니다.
TCP/IP (요청 편지봉투):
HTTP 메시지는 TCP/IP(요청 편지봉투)에 담겨져 안전하게 전송됩니다. TCP/IP는 데이터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LAN (도로 네트워크 또는 택배 물류 센터):
요청이 생성되면, 이 요청은 LAN(도로 네트워크 또는 택배 물류 센터)을 통해 서버로 전송됩니다. LAN은 요청을 안전하고 빠르게 서버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경로를 나타냅니다.
서버 (쇼핑몰도, 택배회사 소유도 아닌 물품 보관만 도맡은 독립 창고업자):
서버(창고 또는 물류 센터)에서는 받은 요청을 처리하여 필요한 정보나 제품을 찾습니다. 그리고 이 정보 또는 제품을 HTTP 메시지 형태로 웹 브라우저에게 다시 전송하게 됩니다, 이때 또한 TCP/IP 프로토콜과 소켓을 통해 안전하게 전송되며, 웹 브라우저에서는 이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돌아오는 물품이 html 형식으로 되어있어 쇼핑몰 측에서 바로 인터넷에 개시가 가능함.
'📋CS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1)[비연결성, 메시지] (0) | 2023.09.19 |
---|---|
HTTP (0) | 2023.09.18 |
HTTP 기본정리[인터넷 네트워크][IP, port, TCP, UDP, DNS] (0) | 2023.09.15 |
iot지식능력검정 합격후기 (0) | 2023.05.22 |
네트워크이론 기초 정리(재업)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