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는 내용이 아직 확 와닿지 않아, 내용 정리가 스스로 안되서 복붙을 많이 사용했다.
'정보를 줄테니까 서버 니가 받아서 요청 데이터를 처리해' 라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전달하는 것이 post
위처럼 다양한 종류의 post의 역할들이 있다.
조회는 get이 유리함. 그 외에 데이터가 변경, 프로세스 진행되는 경우, 애매해서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post를 쓴다고 함.
<post 세부 과정>
1.리소스를 서버가 받아서 자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을 함.
2.신규 리소스 식별자 생성
3. 리소스 기반으로 만든 식별자 같은 새로운 정보들을 다시 클라이언트에 보내줌.
출처 : 모든 개발자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CS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키, 토큰 JWT, 세션 간단 정리+ JWT 실습 (0) | 2024.02.13 |
---|---|
HTTP[PUT,PATCH][HTTP 메서드의 속성] (0) | 2023.09.26 |
HTTP(2)[http의 리소스 다루기] (0) | 2023.09.20 |
HTTP(1)[비연결성, 메시지] (0) | 2023.09.19 |
HTTP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