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DOM 조작

문서 객체 다루기(1)[ 노드 선택 속성 및 메서드, 노드 조작]

하얀성 2023. 4. 3. 19:31

document 구성도.

각 태그 하나하나를 '노드'라 부르며 이것들을 불러서 쓸 수 있다.


<노드를 불러 오는 속성>


<노드를 선택하는 메서드들>

특정 id, class, 태그명으로 불러오기

#id명 아니라 id명으로 부름 

.class명이 아니라 class명으로 부름

태그명으로 부름

 

아무거나 한개, 아무거나 선택한 것의 종류를 모두 불러오기

#, . <>등을 붙여서 부름.


<노드 조작>

textContent :

태그는 읽지 명령은 읽지않고 텍스트 내용만 가져온다.

만약 태그로 display:none을 통해 가려놨어도 텍스트를 불러들이면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뒤에 붙일 때 공백 인)

 

innerText : 화면에 출력되는 것만 가져옴(태그로 가렸으면 안가져온다.)(뒤에 붙일때 공백인식 불가)

 

innerHTML : 태그, 텍스트 모두 가져옴


<불러들인 노드에 css 스타일 바로 적용하기>

 

기본모양 : 노드 불러온 변수. style. css명령어 

css 를 가져다 쓸수 있지만. background-color 처럼 -으로 이어진 css 명령어는 js에서는 뺄셈으로 인식한다.

그래서 backgroundColor 이런식으로 사용한다.


<css class를 불러온 노드에 적용하기 classList.add("css클래스명")>

  • #text만 불러들였지만, 그 변수에 classList를 통해 css 클래스 또한 추가가 가능하다.
  • .add().add()처럼 chain은 불가능하다. 연달아 두 문장을 써서 class를 적용해야 한다.
  • 삭제는 classList.remove("클래스명")을 통해 한다.

toggle은 css class가 있으면 없게끔. 없으면 있게끔 하는 메서드.


<태그 속성 가져오기,  할당하기, 삭제하기>

.getAttribute("속성")


setAttribute("속성명","속성 할당값")


.removeAttribute("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