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let은 Server + let의 약자로 거의 java를 이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MVC 중 C . C로서 Servlet의 의미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제일 먼저 받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객체 MyUtil이란 M(모델)을 통해, 그 객체 안에 미리 정의해 두었던 hap이란 메서드를 sum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현재 WEB-INF 아래의 보이지 않는 dir인 classes에
kr.web.controller 아래에 HelloServlet이 저장되있음
하지만 WEB-INF는 관리실이라 칭했음.
말그대로 관리하는 폴더라 보안 상 브라우저에 나타나면 안됨 , 코드도 긺.
그래서 아래처럼 톰캣으로 정상작동되어도 보안상 아래처럼 404가 뜨게된다.
서블릿 Mapping
말그대로 관리하는 폴더라 보안 상 브라우저에 나타나면 안됨 , 코드도 긺 이런 이유들로
서블릿 맵핑을 통해서 주소를 간략화 한 뒤에 web.xml에 저장.
그렇게하면 원하는 메서드를 짧은 임시 주소값으로 불러올 수 있게 된다.
서블릿 Mapping 하기
서블릿은 WEB-INF / classes를 깔고 가기 때문에 주소 입력시, 따로 입력할 필요 x
위에 긴 주소가 진짜 서블릿 이름(진)
hs.do 는 URL 상의 서블릿 이름(가짜)
<servlet-name></>을 통해 servlet 태그와 mapping 태그를 하나의 이름을 통해 이어준다.
Servlet의 이름은 총 3가지인 것이다.
보통 A지점은 고유해야하기 때문에 HelloServlet 같은 클래스(메서드)이름을 써준다.
mappingg한 이름을 통해, mapping한 게 저장되어 있는 곳(web.xml)을 찾아간다.
그 곳의 mapping한 정보들을 HelloSErvlet이라는 클래스에 적용시켜준다.
그리고 아래의 태그들이 톰캣으로 해석되어 렌더링 된후(태크 형태), 브라우저에서 생성된다.
간결하게 주소가 표현되고, 브라우저에 화면이 정상적으로 나타난다.
Mapping 과정 간소화
8번째 줄의 코드를 통해 간단하게 맵핑이 가능하다.
web.xml에 굳이 코드를 쳐줄필요가 없다.(만약 간소화 버전, web.xml 버전 둘다 Mapping하게 된다면 충돌로 오류가 발생)
'📟java > JSP,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let 이해하기(3)[자동, 수동 dir생성 비교] (1) | 2023.02.28 |
---|---|
Servlet 이해하기(2)[Mysql table 만들고 조작하기 ] (0) | 2023.02.27 |
Model1 이해 (jsp + Model)[구조 이해, 공부방향 설정] (0) | 2023.02.27 |
jsp 이해 [jsq파일 생성, 톰캣실행, WAS 구조의 이해] (0) | 2023.02.27 |
eclipse에서 mysql 연동해보기 (0)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