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제한사항
입출력 예 설명
정수 num1과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두 수가 같으면 1 다르면 -1을 retru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0 ≤ num1 ≤ 10,000
- 0 ≤ num2 ≤ 10,000
입출력 예num1num2result
2 | 3 | -1 |
11 | 11 | 1 |
7 | 99 | -1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설명 #1
- num1이 2이고 num2가 3이므로 다릅니다. 따라서 -1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설명 #2
- num1이 11이고 num2가 11이므로 같습니다. 따라서 1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설명 #3
- num1이 7이고 num2가 99이므로 다릅니다. 따라서 -1을 return합니다.
<제출 답안>
const solution = (num1, num2) => {
if(num1 === num2) {
return 1
} else {
return -1
}
}
unction solution(num1, num2) {
var answer = num1 === num2 ? 1 : -1;
return answer;
}
이런식으로 3항 연산자 써서 풀수도 있다.
<보충>
등호 1개는 할당연산자이고요, 등호 2개는 비교연산자에서 동등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연산자입니다.
즉 등호가 1개면 그냥 값을 할당하는거에요. 예를들어 x=3 이렇게 하면 x라는 변수에 3이라는 값을 할당하는거죠.
참고로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등호 3개인 일치연산자도 있습니다.
=는 오른쪽 값을 왼쪽에 대입.
=는 Equal Operator이고, ===는 Strict Equal Operator이다.
==는 a == b 라고 할때, a와 b의 값이 같은지를 비교해서,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라고 한다.(값만 같으면 true이다.)
===는 Strict, 즉 엄격한 Equal Operator로써, "엄격하게" 같음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는 a === b 라고 할때, 값과 값의 종류(Data Type)가 모두 같은지를 비교해서,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라고 한다.
'🗃️javascript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Lv.0)(array.filter() 사용해보기) (0) | 2022.12.28 |
---|---|
배열의 평균값(Lv. 0)( reduce()에 대해 알아보자 ) (0) | 2022.12.27 |
각도기(Lv.0)( return문과 중괄호는 한세트다) (0) | 2022.12.27 |
몫 구하기(level 0)(Math.floor == ~~연산자) (0) | 2022.12.27 |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머스 시작 및 각오 (0)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