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함수가 있을 때 원하는 명령만을 수행한 뒤, 함수를 종료하기 위함.
const handleSubmit = () => {
if(state.author.length < 1){
alert('작성자는 최소 1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return
}
if(state.content.length < 5){
alert('일기 본문은 최소 5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return
}
alert('저장 성공')
}
만약 아래 코드처럼 return이 생략된다면?
ㅡ> 아래처럼 저장 성공 화면까지 출력하게 된다.
const handleSubmit = () => {
if(state.author.length < 1){
alert('작성자는 최소 1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return
}
if(state.content.length < 5){
alert('일기 본문은 최소 5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 생략
}
alert('저장 성공')
}
(논리 상 당연한 구조인데 이런 걸 개발할 때 은근히 놓친 적이많아서 기록해보았다.)
'🪁react > react 이론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의 상태관리(데이터 변경)[csr ,ssr 코드 비교를 통한 이해] (0) | 2024.01.12 |
---|---|
useRef()란? (0) | 2024.01.11 |
e.target.value와 e.target.name 이해하기[대괄호 표기법 이란?] (0) | 2024.01.10 |
useState 초기화및 값 변경 관련 예시 (0) | 2024.01.10 |
react splice 제대로 파보기[각 메소드 반환값을 제대로 알아야 코드에러x] (0)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