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test = (a,b,c) => {
console.log(a);
console.log(a * b);
console.log(a * b * c);
}
test(10, 100)
함수 test를 호출할 때 세 번째 매개변수 c에 대한 값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c는 undefined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함수를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됩니다:
console.log(a); → 10이 출력됩니다.
console.log(a * b); → 10 * 100 = 1000이 출력됩니다.
console.log(a * b * c); → 10 * 100 * undefined는 NaN (Not a Number)을 결과로 반환하므로 NaN이 출력됩니다
.
'🗃️javascript > 이론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섀도잉[이름 동일하면 범위 무관 값동일] || 콜백함수[객체지향의 기운이..] (0) | 2023.10.25 |
---|---|
setTimeout, setInterval || 호이스팅[선언적 함수는 맨위로 끌어올려짐.] (0) | 2023.10.25 |
객체를 선언할 때 키 값은 문자열이지만 특수문자가 키값이 되면 에러 (0) | 2023.10.07 |
arguments (매개변수를 다루는 유사 배열 객체) (0) | 2023.10.07 |
기본 자료형, 객체 자료형 (0) | 2023.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