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code에 설치해서 우분투 리눅스와 연동되도록한다.
우분투 안에 파일이 있고 해도, 그 파일을 작업할 수 있게된다.
설치 후, 다른 설정을 위해 잠시 종료.
우분투 안에 저장공간 생성
우분투로 가서..
$ mkdir section3
$ cd section3
$ rm -rf 폴더명
(폴더 삭제)
git config --global core.atuocrlf input 을 cmd에서 입력(git 설치하고 나서 해야제?)
(git 설치 후에 git에 올릴 때, 글자줄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코드)
$ code .
(한칸 꼭 점 띄워야 됨.)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디렉터리(.)를 Visual Studio Code에서 열라는 의미입니다.
열심히 설치중이다.
설치 후, 자동으로 vscode가 실행된다.
참고
이 메시지는 Visual Studio Code의 Remote Development 확장 기능이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환경에 VS Code Server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설명을 추가하자면:
Downloading: ,,,,,,100%: VS Code Server의 필요한 파일들을 다운로드하는 과정입니다. 100%까지 완료되었으므로, 모든 파일이 성공적으로 다운로드되었습니다.
Unpacking: 100%: 다운로드 받은 파일들을 압축 해제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도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Unpacked 1794 files and folders to /home/park/.vscode-server/bin/abd2f3db4bdb28f9e95536dfa84d8479f1eb312d: 압축 해제된 파일과 폴더 1794개가 /home/park/.vscode-server/bin/ 디렉터리 아래 특정 버전 ID 폴더 (abd2f3db4bdb28f9e95536dfa84d8479f1eb312d)에 설치되었습니다.
설치가 완료된 후, VS Code는 이제 WSL 내의 파일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후로는 code . 명령어를 사용할 때마다, 이런 설치 과정 없이 바로 해당 폴더를 VS Code에서 열 수 있게 됩니다.
VS Code가 이미 제대로 실행되었고 해당 폴더를 올바르게 로드했다면, 그 상태로 계속 작업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터미널이 다음 명령어 입력을 기다리는 상태로 돌아오지 않았더라도, VS Code 내부의 터미널을 사용하여 WSL 명령어를 계속 실행할 수 있습니다.
설치 후, 이 글로벌 git 코드를 아무데서나 입력하면 전역으로 적용이 된다.
wsl에서 한글파일 깨짐을 방지해주는 코드다.
<추가사항>
git config --global core.quotepath false
위의 명령은 Git이 경로나 파일명을 출력할 때 ASCII 이외의 문자를 7-bit ASCII로 인코딩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node > node 이론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e 객체 사용해보기 + .toString().padStart(자릿수, 문자) (0) | 2023.10.06 |
---|---|
구조분해할당+함수 선언 시 구조 분해 할당의 형태로 매개변수를 정의 하는 형태 (0) | 2023.10.06 |
파사드 패턴과 import 하기 (0) | 2023.10.05 |
터미널 통해 wsl 우분투 설치 및 버전 확인 + node.js 설치 (0) | 2023.10.03 |
그 사람과 닮은 포켓몬 찾아주는 웹 어플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