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제한사항-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sanswer
"pPoooyY" | true |
"Pyy" | false |
입출력 예 #1
'p'의 개수 2개, 'y'의 개수 2개로 같으므로 true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p'의 개수 1개, 'y'의 개수 2개로 다르므로 false를 return 합니다.
※ 공지 - 2021년 8월 23일 테스트케이스가 추가되었습니다.
function solution(s){
return s.match(/[p,P]/g).length === s.match(/[y,Y]/g).length? true : false
}
수정 보완 :
1. 정규 표현식에서 i를 뒤에 붙이면 대,소문자 구분이 없어진다.
2. ==가 true, false 판별이다. ===는 타입까지 비교. 굳이 삼항연산자 쓸필요 x
function solution(s){
return s.match(/p/ig).length == s.match(/y/ig).length
}
통과 (0.13ms, 33.6MB) | |
테스트 2 〉 | 실패 (런타임 에러) |
테스트 3 〉 | 실패 (런타임 에러) |
테스트 4 〉 | 통과 (0.19ms, 33.4MB) |
테스트 5 〉 | 통과 (0.25ms, 33.6MB) |
테스트 6 〉 | 통과 (0.13ms, 33.4MB) |
테스트 7 〉 | 통과 (0.22ms, 33.5MB) |
테스트 8 〉 | 통과 (0.13ms, 33.4MB) |
테스트 9 〉 | 통과 (0.14ms, 33.5MB) |
테스트 10 〉 | 통과 (0.13ms, 33.4MB) |
테스트 11 〉 | 통과 (0.14ms, 33.5MB) |
테스트 12 〉 | 통과 (0.17ms, 33.5MB) |
테스트 13 〉 | 통과 (0.21ms, 33.4MB) |
테스트 14 〉 | 통과 (0.16ms, 33.6MB) |
테스트 15 〉 | 통과 (0.15ms, 33.4MB) |
테스트 16 〉 | 통과 (0.19ms, 33.6MB) |
테스트 17 〉 | 통과 (0.16ms, 33.6MB) |
테스트 18 〉 | 통과 (0.15ms, 33.5MB) |
테스트 19 〉 | 통과 (0.13ms, 33.4MB) |
테스트 20 〉 | 통과 (0.13ms, 33.5MB) |
테스트 21 〉 | 통과 (0.18ms, 33.5MB) |
테스트 22 〉 | 통과 (0.13ms, 33.6MB) |
테스트 23 〉 | 통과 (0.15ms, 33.5MB) |
테스트 24 〉 | 통과 (0.20ms, 33.5MB) |
테스트 25 〉 | 통과 (0.13ms, 33.4MB) |
테스트 26 〉 | 통과 (0.13ms, 33.6MB) |
테스트 27 〉 | 통과 (0.13ms, 33.5MB) |
테스트 28 〉 | 통과 (0.14ms, 33.4MB) |
테스트 29 〉 | 실패 (런타임 에러) |
테스트 30 〉 | 실패 (런타임 에러) |
자꾸 에러가 뜬다.
둘다 Null값일 때 비교가 필요함.
if문으로 보완하려했는데 안됨..ㅠ
아래처럼 split()로 쪼개진 칸 갯수만큼을 비교하는 미친아이디어를 누가 생각해냈더라.
function solution(s){
return s.split(/p/i).length == s.split(/y/i).length
}
Null 보완 식.
var solution=s=>(s.match(/p/ig)||[]).length==(s.match(/y/ig)||[]).length
<보충>
match() 결과 값
String.prototype.match() - JavaScript | MDN
match() 메서드는 문자열이 정규식과 매치되는 부분을 검색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문자열이 정규식과 일치하면, 일치하는 전체 문자열을 첫 번째 요소로 포함하는 Array를 반환한 다음 괄호 안에 캡처된 결과가 옵니다. 일치하는 것이 없으면 null이 반환됩니다.
<예제>
var solution=s=>s.match(/p/ig)
입력값 〉 | "pPoooyY" |
기댓값 〉 | true |
실행 결과 〉 | 실행한 결괏값 ["p","P"]이 기댓값 true과 다릅니다. |
테스트 2 | |
입력값 〉 | "Pyy" |
기댓값 〉 | false |
실행 결과 〉 | 실행한 결괏값 ["P"]이 기댓값 false과 다릅니다. |
'🗃️javascript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기(Lv.1)[문자열과 숫자의 사칙연산 결과 = 숫자] (0) | 2023.01.04 |
---|---|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Lv.1)[for반복문을 map()로 응용] (0) | 2023.01.04 |
정수 제곱근 판별(Lv.1)[parseInt()정리, Math.sqrt사용] (0) | 2023.01.04 |
문자열 정렬하기 (1)(Lv.0)[match(regexp)](regexp = 정규식) (0) | 2023.01.03 |
가위 바위 보(Lv.0)[이중 삼항연산자 사용, 객체배열 선언 맛보기] (0) | 2023.01.03 |